안녕하세요!
환절기에 접어들면서 목감기 혹은 목 통증에 시달리시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하는데요. 요즘은 목이 칼칼하거나 통증이 있으면 혹시 코로나 아닌가 걱정이 되기도 하죠.
저도 목감기에 자주 걸리다 보니 가을에는 항상 가습기를 틀어두며 신경을 쓰고 있습니다.
오늘은 목 통증 있을 때 혹은 목감기에 걸렸을때 빨리 낫는 법에 대해 공유해 드리고자 합니다 :)
목구멍, 인후 통증의 원인
목감기에 걸렸을때는 다양한 통증이 함께 동반되곤 합니다. 또한, 목이 아프더라도 목감기가 아닌 단순한 인후통인 경우도 있는데요. 먼저 인후 통증의 대표적인 원인을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열이 나고 목구멍이 부어서 아파요
열을 동반하는 인후통은 감기, 인플루엔자(독감), 급성편도염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열이 난다는 것은 바이러스나 세균에 감염되었다는 증상이기 때문입니다. 대부분 일주일 정도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지지만, 일상생활에 방해가 될 정도로 통증이 심하다면 이비인후과, 가정의학과에서 진료받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2. 목구멍뿐만 아니라 가슴에 통증이 있어요
목 뿐만 아니라 가슴이 화끈거리는 듯한 통증은 위산 역류로 인해 생기는 통증입니다. 타는 듯한 통증이 누워있을 때 심하다면 더욱 의심해 볼 수 있는데요. 이를 치료하지 않고 방치한다면 목소리가 변할 수도 있고 만성기침까지 이어질 수 있으니 꼭 치료를 받는것을 추천 드립니다.
3. 목에 무언가 걸린 듯한 느낌이에요
생선이나 닭의 뼈 혹은 알약 등을 잘못 삼키다가 걸렸을 경우 목구멍에 이물질이 걸린 자극을 받으면서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이런 경우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좋아지지만 만약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에는 치료를 받는것을 추천 드립니다.
목감기 빨리 낫는 방법
1. 소금물로 가글하기
소금물은 음식의 산기를 제거하고 목 염증을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목 통증이 심할때는 따뜻한 물에 소금을 반티스푼 정도 용해시켜 한 번씩 가글해 주면 개선에 상당한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2. 생강차, 강황차 마시기
목감기에 걸렸을때는 따뜻한 차를 마시는 것이 큰 도움이 되는데요. 그중에서도 생강차와 강황차가 목감기를 빨리 낫게 하는데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생강이 가지고 있는 진저롤, 진지베렌등은 염증과 가래를 없애 목 통증을 완화시키는데 좋으며, 강황에는 염증을 완화해주는 성분이 있어 아주 좋다고 합니다.
3. 자기 전에 가습기 틀어두기
목에 통증이 있다는 것은 목 점막이 건조해 침을 충분히 만들어 내지 못한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섭취하면서 목을 촉촉하게 유지해 주 는것이 좋습니다.하지만, 사람이 수면을 할때 는 목 관리를 하지 못해 건조한 간절기에는 아침에 일어날때 항상 목이 건조해져 있는것을 느낄 수 있죠. 이런 건조한 환경이 목감기를 더욱 악화시킨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기 전에는 항상 가습기를 틀어두고 실내 습도를 조절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4. 목 따뜻하게 하기
목감기에 걸렸을 때는 실내 보온뿐만 아니라 신체의 기온이 떨어지지 않기 위해 스카프나 수건등으로 목을 감싸고 있는것이 좋습니다. 특히 외출할때는 바람에 맞지않게 목을 단단히 보온해 주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본격적인 간절기 시즌이 시작되면서 코로나뿐만 아니라 독감이 유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저도 남편과 지난주에 독감 예방주시를 맞았는데요. 정말 많은분들이 예방주사를 맞으러와서 병원에 발디딜틈이 없을 정도였습니다. 미리미리 예방하는 것이 좋지만 그래도 목감기에 걸렸을때는 꼭 병원에 방문하시어 약을 처방받으시고 컨디션 조절을 잘 하시는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목감기빨리낫는법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포스트가 유익했다면 구독, 좋아요, 하트(공감)를 부탁드립니다.
'건강 이야기 >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내염 빨리 낫는법을 소개해요 (1) | 2022.10.18 |
---|---|
약국에서 구매 가능한 질염약 추천드려요 (0) | 2022.10.10 |
타이레놀 복용법 및 부작용을 알아보자 (0) | 2022.10.09 |
발목 접질렀을때 대처 방법을 알아보자 (0) | 2022.10.06 |
여성 평균 기초대사량을 알아보자 (1) | 2022.10.05 |